학점은행제 컴퓨터공학, 지금아니면 늦어요!
학점은행제 컴퓨터공학, 지금아니면 늦어요!
- 2017년 1학기 예약접수가 12월부터..
안녕하세요, 교육대통령 서균쌤입니다.
오늘은 학점은행제 컴퓨터공학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.
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진학을 하지 않았거나 혹은
대학교를 다니던 중 적성에 맞지않는 전공, 생각보다
비싼 등록금, 거리상의 문제 등 다양한 이유로 자퇴를
했던 학생들, 전문대를 졸업했지만 학사졸업장을
희망하거나 문과나 다른 공학계열을 전공했지만
IT계열의 학사학위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글입니다.
학점은행제 컴퓨터공학과를 왜 지금 해야하는지
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학점은행제도란 교육부산하 '평생교육진흥원'에서
관리하는 국가제도로써 시간적 비용적인 부담으로
정규대학과정을 거칠 수 없는 사람들이 효율적으로
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교육과정입니다.
학점은행제 컴퓨터공학의 가장 큰 특징은 대학교를
다니거나 사이버대학교나 방통대를 통해 학위과정을
공부하는것보다 시간이나 등록금적인 부분에서 굉장히
효율적이라는 것인데요. 지금부터 알려드릴께요.
우선 학점은행제 컴퓨터공학에서 학위를 받을 수 있는
조건을 먼저 살펴봅시다.
- 학사학위 : 전공 60학점 이상, 교양 30학점 이상으로
총 140학점을 모으면 컴퓨터공학사를 받을 수 있죠.
- 전문학사 : 전공 45학점 이상, 교양 15학점 이상으로
총 80학점을 모으면 컴퓨터네트워크 학위취득이 가능하죠.
그렇다면 이런 학점은 어떻게 모을 수 있을까요?
학점은행제 컴퓨터공학에서 학점을 모을 수 있는 방법은
일반적으로 4가지입니다.
- 온라인 수업 : 오프라인 평생교육원, 원격 평생교육원이라
불리는 교육부 승인 교육기관을 통해 대학교 이론수업을
온라인으로 들으며 학점을 모으는 방법이고 1과목에 보통
3학점 취득이 가능합니다.
- 독학사 시험 : 검정고시와 비슷하며 독학으로 공부한
사람들을 위한 검증시험으로, 1~4단계까지 난이도가 있죠.
보통 1단계를 많이 응시하며 교양학점으로 인정 가능합니다.
- 자격증 취득 : 국가자격증을 취득하면 그 난이도에 따라
학점으로 인정해주는것으로 1~3개까지 인정이 가능합니다.
- 전적대 성적 : 학교를 다니다가 자퇴했거나 한과목이라도
취득했던 학점이 있다면 얼마든지 끌어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학점은행제 컴퓨터공학은 이런식으로 사실 내가 마음만
먹으면 정말 최단기간에 학위취득이 가능합니다.
예를들어 고졸자나 80학점을 모으는것은 자격증 2개와
2학기 온라인 수업, 독학사 1단계 2과목 통과만한다면
1년만에도 전문대 졸업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만약 컴퓨터공학 학위를 취득한 뒤 IT산업이나 회사로의
취업준비까지도 하려는 사람이라면 국가자격증의 경우
IT취업시에도 도움이 되기에 일석이조가 되는것이죠.
오늘은 이렇게 학점은행제 컴퓨터공학에 대해 알아봤는데요.
2016년 교육일정은 이미 종료가 되었고 2017년 1학기
첫 개강수업은 12월에 미리 예약해야만 등록이 가능하기에
지금 학점은행제도를 통해 컴퓨터공학, 정보통신공학,
정보보호학 등의 공학계열 전공학위를 취득하고자 한다면
더 늦기전에 아래를 클릭해서 우선 전문적인 학습플래너를
통해 자신의 상황에 맞는 무료 학습계획부터 세워보세요!